登入選單
返回Google圖書搜尋
마법사들
註釋

“로맹 가리의 소설 중 가장 완성도 높은 작품”

유년의 순수함을 기리며 자식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마법사들』은 마음산책이 열한 번째로 출간하는 로맹 가리 책으로, 그의 소설 중에서 특히 중요한 작품으로 꼽힌다. 『마법사들』이 프랑스에서 처음 출간된 1973년 로맹 가리는 큰 분기점을 맞았다. “소설을 쓰겠다고 마음먹고 책상에 앉으면 이야기가 술술 풀려 나온다는” 그의 지칠 줄 모르는 필력 ‘탓’에 평단과 독자는 한동안 그의 작품들에 “다 안다는 듯 식상한 눈길”을 던졌고, 순수한 열정을 이해받지 못한 로맹 가리는 이를 괴로워했다. 『마법사들』은 이런 로맹 가리가 절치부심하여 쓴 장편으로, “도입부 첫 문단만도 열다섯 번이나 다시 썼고, 수기 원고를 거듭 수정한 뒤 타이핑한 원고마저 가필한 곳이 너무 많아 다시 타이핑했으며, 마지막 교정지까지 수정을 거듭하며 세심하게 공을 들”인 소설이다.(「옮긴이의 말」) 결국 로맹 가리는 『마법사들』로 다시 호평을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로맹 가리는 이로써 만족하지 않고 내친김에 이듬해인 1974년부터 ‘에밀 아자르’라는 가명을 앞세워 작품만으로 공쿠르상을 타내는, 익히 알려진 커다란 스캔들로 당시 문단을 뒤흔들었다. 이러한 사건의 전초전이자 기폭제가 된 것이 바로 『마법사들』이다. 뒷날 로맹 가리의 전기를 쓴 도미니크 보나는 『마법사들』을 로맹 가리의 소설 중 가장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꼽았다.


『마법사들』이 각별히 공들인 소설임은 당시 로맹 가리의 개인사와 작품 자체에서도 엿볼 수 있다. 그는 1970년, 사회적으로 궁지에 몰린 아내 진 세버그와 낳은 딸이 이틀 만에 죽고서 얼마 지나지 않아 이혼했는데 그 뒤에도 한동안 그녀를 돌보았다. 그러다 그녀가 1972년 재혼하자 마침내 그간의 고단함을 떨쳐내고 자기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었다. 이때 그가 주목한 것이 언제나 위로가 되어준 글쓰기, 그리고 어린 시절의 순수함이었다. 요컨대 『마법사들』은 로맹 가리의 본바탕과 지향점을 보여주는 더없이 ‘로맹 가리적’인 소설로, 그의 재량이 마음껏 발휘된 작품이다. 이 소설은 로맹 가리 자신뿐 아니라 아들에게 바치는 작품으로도 알려졌다.


로맹 가리는 “맹목적으로 걸작만을 추구하는, 소설의 하인”을 자처한다. 자신에게 소설은 “만병통치약”이어서 비현실을 통해 현실에 대한 보상을 받는다고 말한다. 그는 무엇보다 “뛰어난 이야기꾼” “탁월한 거짓말쟁이” “세상을 지어내는 발명가”가 되길 바랐고, 자신의 모든 걸 소설에 쏟았다. 어느 인터뷰에서는 “내가 타인들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것은 나의 소설들”이라고 말했고,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남긴 고백에서도 “작가는 자기 자신의 최고의 것을, 자기 상상에서 끌어낸 최고의 것을 책 속에 담고 그 나머지 ‘한 무더기의 보잘것없는 비밀’은 홀로 간직”한다고 말했다.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