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교육에서 이론과 기술만 가르치고 있지는 않은가? 지금은 감성과 표현력을 길러주는 영화교육이 절실한 때다. 이 책은 9개 계층의 눈높이에 맞춰 진행된 영화교육의 현장을 보여준다. 그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수법 매뉴얼까지 정리하여 제시한다. 영화 만들기를 통해 소통과 상생을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유용한 실전서가 될 것이다.
[책의 특징]
* 학교, 영화캠프, 보호관찰 청소년, 방과후학교, 군인, 일반 성인, 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노인 등 9개 계층을 대상으로 한 교육현장을 생생하게 담았다.
* 10여 년간 영화교육을 해왔던 저자들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전달한다.
* 실제 교육에서 쓰였던 커리큘럼을 표로 제시하여 이해도를 높였다.
* 매체의 발달에 따라 변화된 영화교육의 현 주소를 정확히 짚어낸다.
* 한국형 영화교육 이론을 최초로 매뉴얼화했다.
[책의 내용]
영화교육은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이 아니다. 참여자들이 그동안 발산할 수 없었던 자신의 생각을 카메라로 표현하면서 공동 작업을 통해 타인을 배려하는 소통을 배워나가는 교육이다. 또 현재의 대중문화와 얼마든지 결합하면서 참여자들과 동시대 문화에 대한 소통을 나눌 수 있는 교육이기도 하다.
1장에서는 감성과 표현력을 길러주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영화교육의 목적을 정리했다. 2장에서는 그 이론을 바탕으로 학교, 영화캠프, 보호관찰 청소년, 방과후학교, 군인, 일반 성인, 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노인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펼친 영화교육의 현장을 전달한다. 3장은 저자들이 영화교육을 진행하면서 겪었던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영화교육에 처음 입문한 강사들이 수업에 임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교수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했다. 4장은 슈타이너의 ‘교육예술론’을 토대로 향후 영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는 좀 더 다양한 사람들이 자기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 보면서 꿈과 희망을 펼칠 수 있는 시대가 오기를 바라는 저자들의 바람을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