登入選單
返回Google圖書搜尋
성인문해와 문해능력조사
註釋

“글을 모르는 사람이 아직 있나요?” 문해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 해소하기

우리만의 말과 글이 있고 초·중등학교 취학률이 높은 나라에서, 문해교육은 편견과 선입견 속에 있다. 저자는 정말 글 모르는 사람이 없다는 편견, 문해교육이 글을 모르는 사람들만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라는 편견, 문해교육은 ‘글’을 읽고 쓰는 일만을 의미한다는 편견, 비문해자는 부정적인 존재라는 편견, 문해학습은 어느 순간 종결된다는 편견에 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해의 다양한 의미, 새로운 문해교육의 지평, 문해교육의 핵심 이론을 살펴본다. 문해학습자들이 직접 쓴 시에서 문해교육 이론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것은 이 책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발견이다.


문해능력은 무엇을 어떻게 측정, 평가, 조사하는가?

문해의 정의, 이념, 하위 요소와 영역, 수준 등은 문해조사와 그 문항이라는 실재적, 구체적 수준에서 구현된다. 현실에서 문해능력 측정, 평가, 조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들여다보면 문해의 이념과 실재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저자는 2014년, 2017년, 2020년, 2023년에 전국 단위로 이루어진 성인문해능력조사를 비롯해 우리나라의 다양한 문해조사 개발과 수행에 참여해 왔다. 그 경험을 토대로 각 조사의 특징과 변천사, 조사 결과와 그 의미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한다. 이에 더해 국제기구 주도의 문해능력조사나 다른 나라의 문해능력조사는 어떤 모습인지, 우리나라 문해조사와는 어떻게 같고 다른지 핵심을 간결하게 전달한다.


변화하는 문해를 포착하기 위한 미래의 문해능력조사

문해능력 향상의 기본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해교육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확보하는 일이고, 문해능력조사는 그 기본이 된다. 여기서 ‘문해’는 표본실에 박제된 무언가가 아니다. 소통하는 개체들이 있는 한, 문해의 의미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확장한다. 문해능력조사 또한 계속해서 변해야 하는 이유다. 신기술, 새로운 교육 요구과의 만남을 위해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논한다.


교육 현장을 위한 책: 장별 요약, 토론을 위한 질문, 읽기 자료

문해교육 현장과 연구실에서, 문해교사와 예비 문해교사들이 이 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별 토론 질문을 더하고 주요 읽기 자료를 제시했다.